신속통합기획 재개발 2차 – 재개발 현황

신속통합기획-2차-구역

“신속통합기획 재개발”이란?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주택 공급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복잡한 절차와 규제를 간소화하고, 주민 참여를 확대하여 사업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및 재건축은

1차 21개 구역

바로가기

2차 25개 구역

3차 이하 수시 변경
23년 8월 2구역, 9월 1구역, 11월 3구역
24년 1월 6구역, 3월 6구역, 6월 2구역

 

주거환경 개선

노후화된 주거지와 슬럼화된 지역을 신속하게 재개발하여 주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택 공급 확대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서울시에 약 2만 5천 호 이상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장기적인 주택 수급 안정화를 도모하고, 주택 가격 안정에 기여합니다.

 

투기 방지 및 공공성 강화

투기 우려가 있는 지역은 사전 지정하여 거래를 제한하고, 투기 세력을 차단하여 공공성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재개발 사업이 지역 주민의 이익을 우선시하도록 유도합니다.

 

지역 맞춤형 개발

지역별 특성과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지역 균형 발전과 조화를 이루는 개발을 추진합니다.
이를 통해 서울시 전역의 균형 잡힌 발전을 도모합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신속통합기획 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원칙적으로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설정됩니다.
이 구역에서는 토지 및 건물의 거래 시 사전에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허가 없이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 법적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서는 주거용 부동산을 구입할 때 실거주 목적이 명확히 있어야 하며, 이를 증명하지 못하면 거래가 제한됩니다.
허가를 받은 부동산은 일정 기간 동안 실거주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전매나 임대가 제한됩니다.

단, 일반임대사업자(서울 주거자에 한함)는 임대를 통해 실거주가 아닌 전세나 월세를 통해 갭투자가 가능합니다.

또한, 경매를 통해 신속통합기획 구역 내의 물건을 매입한다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자유롭습니다.

 

신속통합기획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도시 재생의 새로운 모델로, 복잡한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재개발 사업을 빠르게 추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를 통해 서울의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보다 많은 시민이 안정적인 주거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신속통합기획-2차-구역

 





 

신통기획 2차 구역

01. 종로구 창신동 23-606 일대 (창신9구역)

진행 단계 : 창신9구역 토지등소유자를 상대로 신속통합기획(안) 주민설명회 개최 (2024년 8월 29일)

위치 : 종로구 창신동 23-606 일대 ( 대지면적 : 133,845㎡ )

세대수 : 약 2,500여 세대 (최고 25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약 1,360여 세대

 

02. 종로구 창신동 629 일대 (창신10구역)

진행 단계 :  창신10구역 토지등소유자를 상대로 신속통합기획(안) 공개 주민설명회 개최 (2024년 8월 29일)

위치 : 종로구창신동 629 일대 ( 대지면적 : 94,695㎡ )

세대수 : 약 1,900여 세대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485개동 / 1,313 세대

특이사항 1 : 성곽부터 안각적용(27도) 성곽 주변 타운하우스 대형, 최고 29층 까지 예정

특이사항 2 : 창신9구역, 창신10구역, 창신12구역(신통기획 올해 12월 예상 예정지) 통합 재개발 예정으로, 창신12구역은 아직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아니다(현재 약 56% 동의율).

 

03. 용산구 서계동 33 일대

진행 단계 : 용산구 서계동 33번지 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6월 24일)

위치 : 용산구 서계동 33번지 일대 ( 대지면적 : 113,279㎡ )

세대수 : 2,900여 세대 (오피스텔 250세대 포함, 최고 39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건축물/거주자 : 862동 / 1,902세대

 





 

04. 성동구 사근동 293 일대

진행 단계 : 사근동 293 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12월 29일)

위치 : 성동구 사근동 293번지 일대 ( 대지면적 : 30,300㎡ )

세대수 : 526여 세대 (35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05. 광진구 자양4동 57-90 일대

진행 단계 : 자양4동 57-90번지 일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1월 31일)

위치 : 서울시 광진구 자양4동 57-90번지 일대 ( 대지면적 : 139,130㎡ )

세대수 : 2,950여 세대 (50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06. 동대문구 용두동 39-361 일대 (용두3구역)

진행 단계 : 용두동 39-361 일대 주민참여단 10명 모집 완료 (2023년 3월 16일) / 신속통합기획 후보지(용두동 39-361번지 일대) 기부채납시설 관련 회신 (2024년 8월 30일)

위치 : 용두동 39-361 일대 ( 대지면적 : 24,957㎡ )

세대수 : ?여 세대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07. 동대문구 답십리동 471 일대

진행 단계 : 답십리동 471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8월 21일)

위치 : 답십리동 471일대 ( 대지면적 : 103,014㎡ )

세대수 : 2,250여 세대 (최고 45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829세대

 

08. 중랑구 망우동 461 일대

진행 단계 : 망우동 461 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1월 11일)

위치 : 중랑구 망우본동 461 일대 ( 대지면적 : 49,637㎡ )

세대수 : 1,200여 세대 (최고 37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424명

 

09. 성북구 종암동 3-10 일대

진행 단계 : 종암동 3-10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6월 12일)

위치 : 성북구 종암동 3-10번지 일대 ( 대지면적 : 26,712㎡ )

세대수 : 690 여 세대 (최고 39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164동, 243명

 





10. 성북구 석관동 62-1일대

진행 단계 : 성북구 석관동 62-1일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1월 22일)

위치 : 성북구 석관동 62-1일대 ( 대지면적 : 64,876㎡ )

세대수 : 1,500세대 내외 (최고 39층 내외)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467동/ 587명

 

11. 강북구 번동 441-3 일대

진행 단계 : 번동 441-3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12월 27일)

위치 : 강북구 번동 441-3일대 ( 대지면적 : 32,877㎡ )

세대수 : 950세대 내외 (최고 29층 내외)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107동 / 547세대

 

12. 강북구 미아동 791-2882 일대

진행 단계 : 미아동 791-2882 일대 재개발사업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7월 4일)

위치 : 미아동 791-2882 일대 ( 대지면적 : 133,876㎡ )

세대수 : 2,500여 세대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특이사항 : 고도제한지구 완화지역

 





13. 도봉구 방학1동 685 일대

진행 단계 : 방학동 685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2월 26일)

위치 : 도봉구 방학동 685번지 일대 ( 대지면적 : 74,390㎡ )

세대수 : 1,600여 세대 (최고 31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384동 / 754명

 

14. 은평구 신사동 237 일대

진행 단계 : 은평구 신사동 237번지 일대 (2024년 8월 28일)

위치 : 은평구 신사동 237번지 일대 ( 대지면적 : 55,209㎡ )

세대수 : 1,300여 세대 (최고 33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15. 은평구 신사동 200 일대

진행 단계 : 은평구 신사동 200번지 일대 (2024년 8월 28일)

위치 : 은평구 신사동 200번지 일대 ( 대지면적 : 63,496㎡ )

세대수 : 1,500여 세대 (최고 33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특이사항 : 14, 15 신사동 200, 237 일대 통합 재개발 추진

 





16. 서대문구 남가좌2동 337-8 일대

진행 단계 : 남가좌2동 337-8 일대 비대위 구역지정 해제 신청 (2024년 4월 17일)

위치 : 남가좌2동 337-8 일대 ( 대지면적 : 75,853㎡ )

세대수 : 1,860여 세대 (임대 270 포함)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705 세대

특이사항 : 주민 30% 반대로, 22,966㎡ 대지 제외 예정

 

17. 양천구 목2동 232 일대

진행 단계 : 양천구 목2동 232일대 재개발사업 후보지의 신속통합기획을확정 (2024년 7월 22일)

위치 : 양천구 목2동 232일대 ( 대지면적 : 22,315㎡ )

세대수 : 580여 세대

토지등소유자 : 312명(존치부지 토지등소유자 제외)

 

18. 구로구 고척동 253 일대

진행 단계 : 고척동 253번지 일대 재개발사업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12월 20일)

위치 : 구로구 고척동 253번지 일대 ( 대지면적 : 63,236㎡ )

세대수 : 1,450 여 세대 (29층 내외)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19. 구로구 가리봉동 115 일대

진행 단계 : 가리봉동 115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1월 25일)

위치 : 구로구 가리봉동 115일대 ( 대지면적 : 84,222㎡ )

세대수 : 2,200여 세대 (최고 50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특이사항 : ‘가리봉동 87-177일대(1차 후보지)’와함께G밸리의 ‘직주근접 배후 주거단지’로 탈바꿈

 

20. 금천구 시흥동 871 일대

진행 단계 : 금천구 시흥동 871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12월 21일)

위치 : 금천구 시흥동 871 일대 ( 대지면적 : 88,326.3㎡ )

세대수 : 2,000 여 세대 (최고 45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367동/ 880명

 

21. 영등포구 대림동 855-1 일대

진행 단계 : 영등포구 대림동 855-1번지 일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1월 4일)

위치 : 영등포구 대림동 855-1 일대 ( 대지면적 : 42,430㎡ )

세대수 : 1,000 여 세대 (최고 35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221동/ 308명

 





22. 동작구 사당동 288 일대

진행 단계 : 동작구 사당동 288 일대 신속통합기획 2차 선정 (2022년 12월 29일)

위치 : 동작구 사당동 288 일대 ( 대지면적 : 26,177㎡ )

세대수 : ?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특이사항 : 사당로 16마길 29 추진위원회 동의서 징구 중

 

23. 동작구 상도동 279 일대(상도15구역)

진행 단계 : 상도동 279 일대 재개발사업(이하 상도15구역(가칭)의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3월 5일)

위치 : 동작구 상도동 279 일대 ( 대지면적 : 141,286㎡ )

세대수 : 3,200 여 세대 (35층 내외)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24. 관악구 신림동 412 일대

진행 단계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법 재열람 9월 예정 / 신속통합기획 2차 선정 (2022년 12월 29일)

위치 : 관악구 신림동 412 일대 ( 대지면적 : 160,392㎡ )

세대수 : 3,800 여 세대 예상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

특이사항 : 1종지역이 70%

 

25. 송파구 마천동 183 일대

진행 단계 : 송파구 마천동 183 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4년 3월 20일)

위치 : 송파구 마천동 183 일대 ( 대지면적 : 74,925.5㎡ )

세대수 : 1,650 여 세대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351동/982명

 

신속통합기획 1차 구역 확인하기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1차 – 재개발 현황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재개발”이란?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주택 공급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복잡한 절차와 규제를 간소화하고, 주민 참여를 확대하여 사업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및 재건축은

1차 21개 구역

2차 25개 구역

바로가기

3차 이하 수시 변경
23년 8월 2구역, 9월 1구역, 11월 3구역
24년 1월 6구역, 3월 6구역, 6월 2구역

 

주거환경 개선

노후화된 주거지와 슬럼화된 지역을 신속하게 재개발하여 주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택 공급 확대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서울시에 약 2만 5천 호 이상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장기적인 주택 수급 안정화를 도모하고, 주택 가격 안정에 기여합니다.

 

투기 방지 및 공공성 강화

투기 우려가 있는 지역은 사전 지정하여 거래를 제한하고, 투기 세력을 차단하여 공공성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재개발 사업이 지역 주민의 이익을 우선시하도록 유도합니다.

 

지역 맞춤형 개발

지역별 특성과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지역 균형 발전과 조화를 이루는 개발을 추진합니다.
이를 통해 서울시 전역의 균형 잡힌 발전을 도모합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신속통합기획 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원칙적으로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설정됩니다.
이 구역에서는 토지 및 건물의 거래 시 사전에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허가 없이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 법적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서는 주거용 부동산을 구입할 때 실거주 목적이 명확히 있어야 하며, 이를 증명하지 못하면 거래가 제한됩니다.
허가를 받은 부동산은 일정 기간 동안 실거주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전매나 임대가 제한됩니다.

단, 일반임대사업자(서울 주거자에 한함)는 임대를 통해 실거주가 아닌 전세나 월세를 통해 갭투자가 가능합니다.

또한, 경매를 통해 신속통합기획 구역 내의 물건을 매입한다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자유롭습니다.

 

신속통합기획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도시 재생의 새로운 모델로, 복잡한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재개발 사업을 빠르게 추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를 통해 서울의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보다 많은 시민이 안정적인 주거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신통기획 1차 구역

01. 종로구(재생) 창신23/숭인동56

진행 단계 :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 경관심의(안) 수정가결 (2024년 7월 31일)

위치 : 종로구 창신동 23-2 일대 ( 대지면적 : 64,765㎡ )
        종로구 숭인동 56-4 일대 ( 대지면적 : 42,282.2㎡ )

세대수 : 2,000여 세대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668동(창신동 : 294 / 숭인동 : 374)/ 711명

창신숭인

 

02. 용산구 청파2구역

진행 단계 : 주택재개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안) 수정가결 (2024년 7월 3일)

위치 : 청파동1가 89-18번지 일대 ( 대지면적 : 82,558.4㎡ )

세대수 : 1,905 세대 (25층, 20개동, 공공 407세대)

토지등소유자 : 1,505 세대

 

03. 성동구 마장동382

진행 단계 : 정비계획(안) 입안절차 추진 및 정비계획 결정 (2023년 7월 21일)

위치 : 서울시 성동구 마장동 382 일대 ( 대지면적 : 18,749㎡ )

세대수 : 260여 세대 (24층)

토지등소유자 : 136 세대

 





 

04. 동대문구 청량리동 19번지 일대 (청량리 9구역)

진행 단계 :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 공람공고 (2023년 3월 11일)

위치 : 동대문구 청량리동 19번지 일대 ( 대지면적 : 28,647.8㎡ )

세대수 : 843 세대 (공공 188세대)

건축물/세대수 : 179동/ 316세대

 

05. 중랑구 면목동 69-14

진행 단계 : 면목본동 69-14 일대의 ‘면목7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의 조합설립추진위원회 구성을 승인 (2024년 4월 12일)

위치 : 중랑구 면목동 69-14일대 ( 대지면적 : 58,400m² )

세대수 : 1,447 세대 (최고 35층)

건축물 / 토지등소유자 : 325동 / 657명

 

06. 성북구 하월곡동 70-1

진행 단계 : 하월곡동 70-1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4월 14일)

위치 : 성북구 하월곡동 70-1일대 ( 대지면적 : 80,672㎡ )

세대수 : 1,900여 세대 (최고 35층)

건축물 / 토지등소유자 : 555동 / 654명

   

 





 

07. 강북구 수유동 170-1

진행 단계 : 수유동 170-1 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3월 11일)

위치 : 강북구 수유동 170-1 일대 ( 대지면적 : 12,124㎡ )

세대수 : 230여 세대

건축물/거주자 : 84동/ 142 세대

 

 

08. 도봉구 쌍문동 724

진행 단계 : 쌍문동 724번지 일대 주택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 수정가결 (2024년 1월 2일)

위치 : 도봉구 쌍문동 724번지 일대 ( 대지면적 : 10,619㎡ )

세대수 : 총 320세대(임대주택 67세대 포함, 최대 25층)

거 주 자 : 143 세대

 

09. 노원구 상계5동

진행 단계 : 상계5동 154-3 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6월 5일)

위치 : 상계5동 154-3 일대 ( 대지면적 : 198,160.6㎡ )

세대수 : 4,300여 세대 (최고 39층)

건축물/토지등소유자 : 859동/ 2,158 세대

 





 

10. 은평구 불광동 600

진행 단계 : 불광동 600번지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 : 수정가결 (2024년 8월 23일)

위치 : 은평구 불광동 600번지일대 ( 대지면적 : 13,145.1㎡ )

세대수 : 약 321세대 (최고 25층, 5개동)

토지등소유자 : 188 세대

 

11. 서대문구 홍은동 8-400

진행 단계 : 홍은동 8-400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위치 :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동 8-400번지 일대 ( 대지면적 : 88,211㎡ )

세대수 : 1,600 세대 내외 (최고 23층)

건축물/거주자 : 535동 / 873세대

 

 

12. 마포구 공덕동A

진행 단계 :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 경관심의(안) 수정가결 (2024년 7월 31일)

위치 : 마포구 공덕동 11-24번지 일대 (공덕A구역 또는 공덕8구역 대지면적 : 84,389㎡ )

세대수 : 1,564 세대 (최고26층 , 15개동)

토지등소유자 : 814 세대

창신숭인

 





 

13. 양천구 신월7동 1구역

진행 단계 : 양천구 신월7동 1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안) : 수정가결 (2024년 8월 23일)

위치 : 신월동 913-976번지 일대 ( 대지면적 : 115,699㎡ )

세대수 :총 2,890세대 (임대주택 526세대 포함, 최고15층)

건축물/거주자: 357동/ 2,180세대

 

14. 강서구 방화2구역

진행 단계 : 사업시행자 지정 : 한국토지신탁 (2024년 8월 16일)

가. 착수예정일 : 2028년 6월
나. 준공예정일 : 2030년 12월

위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589-13 일대 ( 대지면적 : 34,900㎡ )

세대수 : 740여 세대(16층, 공공 126가구)

건축물/거주자 : 139동/ 495세대

 

15. 구로구(재생) 가리봉2구역

진행 단계 : 가리봉동 87-177일대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경관심의(안)“수정가결” (2024년 9월 11일)

위치 : 가리봉동 87-177일대 ( 대지면적 : 40,552㎡ )

세대수 : 1,214 세대 (12개동 최고 34층, 용적률 347%)

토지등소유자 : 390 세대

   

 





 

16. 금천구 시흥동 810일대

진행 단계 : 금천구 시흥동 810 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4월 11일)

위치 : 금천구 시흥동 810 일대 ( 대지면적 : 65,899㎡ )

세대수 : 1,100여 세대 (공공 200 세대 내외, 최고 35층)

건축물/거주자 : 195동/ 330세대

 

17. 영등포구 당산동6가

진행 단계 : 당산동6가 104일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5월 10일)

위치 : 당산동6가 104일대 ( 대지면적 : 30,973㎡ )

세대수 : 780여 세대 (최고 39층)

토지등소유자 : 290 세대

 

 

18. 동작구(재생) 상도14구역

진행 단계 : 상도동 244 일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6월 26일)

위치 : 동작구 상도동 244 일대 ( 대지면적 : 50,142㎡ )

세대수 : 1,190여 세대 (최고 29층)

토지등소유자 : 800 세대

 





 

19. 관악구(재생) 신림7구역

진행 단계 : 신림동 675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6월 15일)

위치 : 신림동 675일대 ( 대지면적 : 76,880㎡ )

세대수 : 1,480여 세대 (최고 25층)

건축물 / 토지등소유자 : 403동 / 760명

 

20. 송파구 마천5구역

진행 단계 : 마천동 93-5일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4월 20일)

위치 : 마천동 93-5일대 ( 대지면적 : 108,040㎡ )

세대수 : 2,200여 세대 (최고 35층)

건축물/거주자 : 435동/ 1,631세대

 

21. 강동구 천호A1-2구역

진행 단계 : 천호 A1-2구역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2023년 4월 5일)

위치 : : 강동구 천호동 461-31 일대 ( 대지면적 : 30,699㎡ )

세대수 : 780 세대 (최고 40층)

거 주 자 : 630 세대(토지등소유자 248명)

신속통합기획 2차 구역 확인하기

 




free PDF converter

Free PDF Converter

“Free PDF Converter”
Converting PDF files into different formats, such as Word documents, Excel spreadsheets, PowerPoint presentations, or image files, and vice versa, can be a seamless process with the right tools.
Here’s how to approach this task effectively

free pdf converter





Identify Your Needs

Determine the output format you require.
Do you need to convert the PDF into an editable text document, a spreadsheet, a presentation, or an image?
Your specific need will dictate the type of tool that’s best suited for the job.

Choose the Right Tool

For simple, one-time conversions, online tools like SmallpdfILovePDF, or PDF2DOC can be very convenient.
They offer a variety of conversion options and are easy to use: upload your PDF, choose the output format, and download the converted file.

If you’re looking for more control over the conversion process, or if you’re dealing with sensitive documents that you prefer not to upload to a third-party server, desktop software like Adobe Acrobat DC or Nitro PDF might be the better choice.
These applications provide a wide range of features beyond conversion, including editing, merging, and security options.

For batch processing or automation, consider tools like PDFelement or Foxit PhantomPDF, which offer the ability to convert multiple PDFs at once and include features for businesses, such as integration with cloud storage and advanced editing capabilities.

Perform the Conversion

Online Tools

Go to the website, upload your PDF, select your desired format, and follow the instructions to convert and download your file.

Desktop Software

Install the software, open your PDF, look for the “Export” or “Convert” option, choose your format, and proceed with the conversion.

Quality Check

After conversion, review the converted document to ensure that the formatting has been preserved accurately. If there are any issues, you may need to manually adjust the document or try converting it again with different settings or a different tool.

Consider Privacy and Security

If your document contains sensitive information, prioritize tools that offer secure conversions. Look for features like SSL encryption for online tools or use desktop software that processes files locally on your computer.

Conclusion

In conclusion, “Free PDF Converter” recommended site

Smallpdf

Website: https://www.smallpdf.com

Features

Smallpdf offers PDF conversion to and from different formats such as Word, Excel, PowerPoint, and JPEG.
It also provides other PDF management tools like merging, splitting, compressing, and editing PDFs.
The interface is user-friendly, making it accessible even for those with minimal technical expertise.

ILovePDF

Website: https://www.ilovepdf.com

Features

ILovePDF is another comprehensive tool for handling PDFs, offering conversion, merging, splitting, and compression.
It supports conversion to several formats, including Microsoft Office formats and image files.
This platform also includes features for adding watermarks, rotating PDFs, and more.

PDF2DOC:

Website: https://www.pdf2doc.com

Features

As the name suggests, PDF2DOC specializes in converting PDF files to DOC format, which is particularly useful for those looking to edit the contents of a PDF in Word.
It’s straightforward, focusing on quality conversions that maintain the original layout as closely as possible.




무료 PDF 파일 변환

무료 PDF 파일 변환

“무료 PDF 파일 변환”을 Word 문서, Excel 스프레드시트,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또는 이미지 파일과 같은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는 것은 올바른 도구를 사용하여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에 효과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료 PDF 파일 변환





필요 사항 파악

필요한 출력 형식을 결정합니다.
PDF를 편집 가능한 텍스트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리젠테이션 또는 이미지로 변환해야 합니까?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작업에 가장 적합한 도구 유형이 결정됩니다.

올바른 도구 선택

간단한 일회성 변환

경우 SmallpdfILovePDF 또는 PDF2DOC와 같은 온라인 도구가 매우 편리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변환 옵션을 제공하고 사용하기 쉽습니다.
PDF를 업로드하고, 출력 형식을 선택하고, 변환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

민감한 문서 변환

변환 프로세스를 더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싶거나 제3자 서버에 업로드하고 싶지 않은 민감한 문서를 다루고 있다면 Adobe Acrobat DC 또는 Nitro PDF와 같은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세요.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편집, 병합 및 보안 옵션을 포함하여 변환 이상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일괄 문서 변환

일괄 처리 또는 자동화의 경우 여러 PDF를 한 번에 변환하고 클라우드 저장소 통합 및 고급 편집 기능과 같은 비즈니스 기능을 포함하는 PDFelement 또는 Foxit PhantomPDF와 같은 도구를 고려하세요.

변환 수행

온라인 도구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PDF를 업로드하고 원하는 형식을 선택한 다음 지침에 따라 파일을 변환하고 다운로드하세요.

데스크톱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PDF를 열고, “내보내기” 또는 “변환” 옵션을 찾아 형식을 선택한 후 변환을 진행하세요.

품질 확인

변환 후 변환된 문서를 검토하여 서식이 정확하게 유지되었는지 확인하세요.
문제가 있는 경우 문서를 수동으로 조정하거나 다른 설정이나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다시 변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고려

문서에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안전한 변환을 제공하는 도구의 우선순위를 지정하세요.
온라인 도구에 대한 SSL 암호화와 같은 기능을 찾거나 컴퓨터에서 로컬로 파일을 처리하는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십시오.

결론

아래 PDF 변환 사이트들에서 “무료 PDF 파일 변환”을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Smallpdf

홈페이지 : https://www.smallpdf.com

기능

Smallpdf는 Word, Excel, PowerPoint 및 JPEG와 같은 다양한 형식 간의 PDF 변환을 제공합니다.
또한 PDF 병합, 분할, 압축 및 편집과 같은 다른 PDF 관리 도구도 제공합니다.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친화적이므로 최소한의 기술 전문 지식을 갖춘 사용자도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ILovePDF

홈페이지 : https://www.ilovepdf.com

기능

ILovePDF는 PDF 처리, 변환, 병합, 분할 및 압축을 제공하는 또 다른 포괄적인 도구입니다.
Microsoft Office 형식 및 이미지 파일을 포함한 여러 형식으로의 변환을 지원합니다.
이 플랫폼에는 워터마크 추가, PDF 회전 등의 기능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PDF2DOC

홈페이지 : https://www.pdf2doc.com

기능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PDF2DOC는 PDF 파일을 DOC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이는 Word에서 PDF 내용을 편집하려는 사람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원본 레이아웃을 최대한 가깝게 유지하는 고품질 변환에 중점을 두는 것은 간단합니다.




Exploring the Tranquil Wonders of Hamdeok Beach, Jeju Island

Hamdeok Beach

Exploring the Tranquil Wonders of Hamdeok Beach, Jeju Island

Welcome to a journey through the serene landscapes of Hamdeok Beach on Jeju Island, a perfect destination for slow travel enthusiasts.

Hamdeok Beach





1. The Natural Splendor of Hamdeok Beach

Shimmering Waters

Describe the beach’s emerald-green, crystal-clear waters, ideal for swimming and relaxation.

Sandy Shores

Highlight the soft, white sand, perfect for leisurely strolls and sunbathing.

2. Hiking Seoubong Peak

Trail Description

Detail the hiking trail leading up to Seoubong Peak, providing scenic views of the beach and ocean.

Viewpoint

Emphasize the panoramic views from the peak, perfect for capturing memorable photographs.

3. Culinary Delights at Hamdeok Beach

Local Seafood

Introduce the variety of seafood restaurants along the beach, offering fresh, locally-sourced seafood.

Signature Dishes

Recommend trying local specialties like grilled mackerel, abalone porridge, and Jeju-style seafood noodles.

Dining Experience

Mention the unique experience of dining with picturesque beach views.

4. Embracing Slow Travel

Laid-Back Atmosphere: Describe the relaxed, peaceful vibe of the area, encouraging visitors to unwind and enjoy the slow pace.

Cultural Immersion: Suggest engaging with local culture and traditions to enhance the travel experience.

Pros

Scenic Beauty

Hamdeok Beach is renowned for its stunning emerald waters and pristine sandy shores, offering a picturesque setting.

Family-Friendly

The shallow, calm waters make it safe and enjoyable for families with children.

Hiking Opportunities

Nearby Seoubong Peak provides hiking trails with splendid views, ideal for nature enthusiasts.

Local Cuisine

The beach area is dotted with restaurants serving fresh, local seafood, offering authentic Jeju culinary experiences.

Relaxed Atmosphere

Perfect for slow travel, the beach’s laid-back vibe allows for a peaceful retreat.

Cons

Crowds in Peak Season

The beach can get crowded during peak tourist seasons, which might detract from the serene experience.

Limited Nightlife

For those seeking vibrant nightlife, Hamdeok Beach may not be the ideal location.

Accessibility

Depending on your location in Jeju, the beach might require a significant travel time.

Recommended for

Nature Lovers

The combination of beach and hiking trails makes it a haven for outdoor enthusiasts.

Families

Safe swimming conditions and open spaces are perfect for a family outing.

Culinary Adventurers

Seafood lovers and those interested in trying Jeju’s local dishes will find plenty of options.

Photographers

The scenic landscape offers numerous opportunities for breathtaking photography.

Conclusion

Invitation to Visit: Encourage readers to experience the beauty and tranquility of Hamdeok Beach, embodying the essence of slow travel on Jeju Island.

Remember, this blog should evoke a sense of calm and urge readers to savor each moment at Hamdeok Beach, aligning with the philosophy of slow travel.




Managing Screen Time for Enhanced Productivity and Wellbeing

digital wellbeing

Managing Screen Time for Enhanced Productivity and Wellbeing

In a world where digital devices are integral to our daily lives, managing screen time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for both our productivity and wellbeing.
While these devices offer remarkable benefits, they also come with challenges.
Let’s explore the ups and downs of screen time and how to strike the right balance.

digital wellbeing





The Upsides of Screen Time

1. Connectivity and Communication

Digital devices keep us connected with friends, family, and colleagues, breaking geographical barriers and fostering relationships.

2. Access to Information

The internet is a vast resource, offering instant access to information for education, news, and self-improvement.

3. Convenience and Efficiency

Technology streamlines many daily tasks, from online banking to virtual meetings, enhancing efficiency.

4. Entertainment and Relaxation

Digital devices provide a vast array of entertainment options, helping us relax and unwind.

The Downsides of Screen Time

1. Digital Eye Strain

Prolonged screen time can lead to eye discomfort, dryness, and blurred vision, known as digital eye strain.

2. Sleep Disruption

Exposure to blue light from screens can interfere with sleep patterns, impacting overall health.

3. Reduced Physical Activity

Excessive screen time often correlates with a sedentary lifestyle, which can affect physical health.

4. Impact on Mental Health

Overuse of digital devices has been linked to increased feelings of anxiety, depression, and loneliness in some cases.

Striking the Right Balance

1. Set Clear Boundaries

Designate specific times for checking emails, social media, and other digital activities to avoid constant screen exposure.

2. Embrace the 20-20-20 Rule

Every 20 minutes, look at something 20 feet away for 20 seconds to reduce eye strain.

3. Create Tech-Free Zones

Establish areas in your home where digital devices are not allowed, such as the bedroom or dining area.

4. Prioritize Physical Activity

Schedule regular breaks to stand, stretch, or walk, counteracting the sedentary nature of screen use.

5. Monitor and Adjust Usage

Use screen time tracking apps to monitor your digital habits and make conscious adjustments.

Conclusion

Balancing screen time is not about eliminating digital devices from our lives but rather using them in a way that enhances, rather than detracts from, our productivity and wellbeing.
By being mindful of the ups and downs of screen time, we can enjoy the benefits of technology while mitigating its challenges.
Remember, the key is moderation and conscious usage, ensuring that our digital habits align with our overall lifestyle goals.




From Siri to Surgery: The Astonishing Ways AI is Transforming Healthcare

From Siri to Surgery

From Siri to Surgery: The Astonishing Ways AI is Transforming Healthcare

In the realm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few developments promise to revolutionize our world as profoundly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While AI’s impact spans various industries, its transformative power in healthcare is particularly noteworthy, offering breakthroughs that were once the stuff of science fiction.

From Siri to Surgery





The Dawn of AI in Healthcare

AI in healthcare represents a blend of the brilliance of human intelligence with the efficiency and scalability of machine learning.
This synergy is not just enhancing patient care; it’s fundamentally reshaping how we approach diagnosis, treatment, and patient management.

Revolutionizing Diagnostic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breakthroughs has been in diagnostics.
AI algorithms, trained on vast datasets of medical imaging, can now identify patterns invisible to the human eye.
For instance, Google’s DeepMind developed an AI that can accurately detect over 50 types of eye diseases from 3D scans, promising early intervention that can prevent severe outcomes.

Personalized Medicine

AI’s ability to analyze big data is paving the way for personalized medicine.
By examining a patient’s genetic makeup, lifestyle, and environment, AI can predict the risk of diseases and tailor treatments to the individual.
This approach not only enhances effectiveness but also minimizes side effects, leading to better patient outcomes.

Streamlining Operations

The operational benefits of AI are equally impressive.
AI-powered systems can manage patient appointments, track bed availability, and automate administrative tasks, reducing wait times and operational costs.
This efficiency allows healthcare professionals to focus on what they do best: caring for patients.

Mental Health and AI

Mental health, often underserved in traditional healthcare models, is receiving a boost from AI technologies.
Chatbots like Woebot us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 techniques to provide immediate, accessible support for individuals struggling with mental health issues, bridging the gap in mental health services.

Ethical Considerations

Despite its benefits, the integration of AI into healthcare raises significant ethical concerns.
Issues such as data privacy, the potential for bias in AI algorithms, and the need for transparency in AI decision-making processes are at the forefront of ongoing debates. Ensuring that AI serves to augment healthcare without compromising ethical standards is paramount.

The Future is Now

The future of healthcare is unfolding before our eyes, driven by the relentless march of AI innovation.
From predictive analytics to robotic-assisted surgery, AI is not just changing the face of healthcare; it’s setting the stage for a healthier future for all.

Conclusion

As we stand on the brink of this new era, one thing is clear: the fusion of AI and healthcare holds the promise of unlocking unprecedented levels of care, efficiency, and innovation.
The journey of integrating AI into healthcare is just beginning, but its impact will be felt for generations to come.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3080 재개발 2024년 개정 예고

3080-재개발-2024년-개정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3080-재개발-2024년-개정” 예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작년에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3080 재개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3080-재개발-개정





소개

정부는 지난해 1월 10일 국민주택 안정과 건설산업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종합주택공급 확대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획의 핵심은 공공부문 참여를 극대화해 도시지역을 재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신규공공주택복합사업 3080에 대해서 자세하게 뜯어보았습니다.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3080+ 키포인트

도심 복합 참여 제고를 보시죠.

작년에는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으로 신규 지역 보호를 위해 나왔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더욱 좋은 조건으로 발표가 되었습니다.
권리 결정 날짜 변경: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라 처음 채택된 새로운 지역은 2021년 6월 29일로 통일된 권리 결정 날짜를 가졌습니다.
그러나 최근 발표에서는 권리 결정 날짜가 실제 지역 지정 날짜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냈습니다.
6차 후보지부터 권리 산정일 개별 적용이 됩니다.

1차 후보지

2021년 3월 31일에 선정되었으며, 서울의 21곳이 포함되었습니다.

2차 후보지

2021년 4월 14일에 발표되었고, 서울에서 13곳이 선정되었습니다.

3차 후보지

2021년 5월 12일에 발표되었습니다.

4차 후보지

2021년 5월 26일에 선정되었으며, 서울 5곳이 포함되었습니다.

5차 후보지

2021년 6월 23일에 발표되었고, 서울 1곳이 포함되었습니다.

6차 후보지

2021년 8월 3일에 선정되었으며, 서울에서 3곳이 포함되었습니다.

7차 및 8차 후보지

2022년 1월에 발표되었습니다.

9차 후보지

2022년 12월 26일에 선정되었으며, 서울 목동 근처 3곳이 선정되었습니다.

10차 후보지

2023년 12월 22일에 선정되었습니다.

이 중 21곳은 구역지정이 철회 되었습니다.

권리산정일을 실제 구역지역지정일로 변경함으로써 동의서 수집이 용이해지고, 특히 다주택자들에게 이익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전에는 권리산정일이 2021년 6월 29일로 일괄 적용 되어 현금청산 이슈로 인해 투자가 제한되었습니다.
이번 정책으로 빌라 투자 수요가 활성화되고 거래도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권리산정일 이후에도 무주택자에 한정해서 1회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입주권 전매 거래가 1회성이지만, 활발할거라 보여집니다.
따라서 3080-재개발-2024년-개정 중 권리산정일 변경은 필수적입니다.

결론

지금까지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3080-재개발-2024년-개정” 예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신규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3080+은 주민의 요구와 시장 여건에 맞춰 도시 재개발에 대한 역동적인 접근 방식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의 중요한 변화를 의미하며, 이는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공 주택 공급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은 안정적이고 저렴한 주택 옵션을 제공하려는 더 넓은 목표와 일치합니다.




블로그 지수와 포스팅 분석 무료로 확인하기: 블덱스 활용 가이드

블로그 지수와 포스팅 분석

블로그 지수와 포스팅 분석 무료로 확인하기: 블덱스 활용 가이드

블덱스 블로그 지수 포스팅 점수 확인





  1. 블덱스 소개

    • 블덱스는 무료로 블로그 지수와 포스팅 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 지수는 “일반”부터 “최적4+”까지 순으로 나열되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노출이 더 잘 된다고 합니다.
  2. 블로그 지수 확인 및 블로그 연동 방법

    • 블덱스 사이트에 들어가 자신의 아이디를 입력하면 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연동을 위해 소개글에 블덱스에서 제공하는 코드를 붙여 넣으면 됩니다.
    • 가운데 흰색 창에 블로그 아이디/주소를 입력하면 연동이 완료됩니다.
  3. 포스팅 지수 확인과 분석

    • 무료 사용자는 1시간에 1번 포스팅 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포스팅 URL을 복사하여 블덱스에 붙여넣으면 포스팅 지수를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연관성 점수는 글 제목에 맞게 글을 잘 쓰면 높게 측정될 수 있으며, 최적은 70~100 사이로, 워드프레스의 SEO 점수와 유사합니다.
  4. 블로그 초기 설정 및 최적화

    • 전문성 점수가 낮을 경우, 글 제목과 내용의 일관성을 높이는 데 주력을 둬야 합니다.
    • SEO 점수와 유사하게 동작하므로 연관성 점수를 높이면 네이버 블로그에서 노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5. 워드프레스와 네이버 블로그에서의 활용

    • 워드프레스에서는 연동이 안되지만,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블덱스를 활용하여 SEO 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합하면, 블덱스는 무료로 블로그의 지수와 포스팅 지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연동 및 분석을 통해 블로그 노출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 국채 투자 방법 2가지(직접 투자 & 간접 투자)

미국 국채 투자 방법

전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가 무엇이냐 하고 물어본다면 당연히 모든 사람들은 미국 국채 투자라고 말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안전한 투자 옵션 중 하나인 “미국 국채 투자 방법”을 체크해보려고 합니다.
미국 국채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무 증권으로, 원금을 보장 받을 수 있는 안전한 투자 도구입니다.

미국 국채 투자





미국 국채 직접 투자

미국 국채 투자는 직접 미국 정부가 발행한 국채를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투자자는 정부 채권 경매나 정부 채권을 발행하는 금융 기관을 통해 미국 국채를 구매합니다.

1. 계정 개설

미국 국채를 구매하려면 먼저 투자 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이것은 주식 거래 계좌나 재무 기관에서 제공하는 투자 계좌일 수 있습니다.

2. 투자 목표 설정

미국 국채를 투자하기 전에 목표와 투자 기간을 설정하세요.
이는 얼마 동안 투자할 것 인지와 어떤 목표 수익을 원하는지를 고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미국 국채 유형 선택

미국 국채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국채 (Treasury Bonds) : 장기 투자를 위한 10년 미만의 채권.

미국 국채 (Treasury Notes) : 중기 투자를 위한 2년에서 10년까지의 채권.

미국 국채 (Treasury Bills) : 단기 투자를 위한 1년 이하의 채권.

4. 주문 실행

선택한 플랫폼을 통해 원하는 미국 국채를 주문하세요.
주문은 시장 가격, 한도 가격 또는 조건부 주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5. 고정수익

미국 국채는 고정수익 증권으로, 원금 보장과 정기적인 이자 지급을 제공합니다.
미국 국채는 이자를 지급하는데, 일반적으로 6개월 또는 12개월마다 이자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6. 직접적인 관리

미국 국채 투자는 투자자가 직접 채권을 선택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는 미국 국채의 보유, 보관 및 만기 경과에 대한 책임을 의미합니다.

 

 

미국 국채 간접 투자

국채 ETF 투자

ETF 구매

국채 ETF는 미국 국채를 포함한 다양한 채권으로 구성된 ETF입니다.
투자자는 주식 시장을 통해 국채 ETF를 주식처럼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선택

국채 ETF는 다양한 미국 국채 유형 (국채, 채권, 트레져리 노트 등)을 단일 ETF로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는 이러한 다양한 채권에 노출됩니다.

1.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TLT)

TLT는 20년 이상의 장기 미국 국채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투자자는 TLT 주식을 브로커 계좌를 통해 매수할 수 있으며, 거래는 주식 거래처에서 수행됩니다.

2.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IEF)

IEF는 7년에서 10년 만기의 중기 미국 국채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IEF 주식을 주식 거래처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3. iShares U.S. Treasury Bond ETF (GOVT)

GOVT는 다양한 미국 국채, 특히 중기와 장기 국채를 포함하는 ETF입니다.

GOVT 주식은 주식 거래처에서 매수할 수 있습니다.

4. SPDR Bloomberg Barclays 1-3 Month T-Bill ETF (BIL)

BIL은 1~3개월 만기의 미국 국채 (T-bills)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BIL 주식을 주식 거래처를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5.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ares (TMF)

TMF는 20년 이상의 미국 장기 국채를 추종하며, 3배 레버리지를 제공합니다. 이 ETF는 일일 수익률을 3배로 높여주는 레버리지 ETF입니다.

TMF는 미국 국채 시장의 상승을 레버리지로 활용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6. Innovator 20+ Year Treasury Power Buffer ETF – January (TLTW)

TLTW는 미국 장기 국채 시장에 노출을 제공하며, 패널티 액자를 관리하여 일정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는 ETF입니다.

용이한 거래

국채 ETF는 주식처럼 거래되기 때문에 매수 및 매도가 용이하며,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거래됩니다.

전문 관리

국채 ETF는 전문 포트폴리오 매니저나 ETF 운용사에 의해 관리되며, 투자자는 채권 선택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 있습니다.

시장 가격 변동

국채 ETF는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므로 시장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미국 국채 자체의 만기 경과나 이자 지급과는 무관할 수 있습니다.

 

 

 

결론

미국 국채 투자와 국채 ETF 투자는 투자자의 목표, 투자 방식 및 선호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미국 국채 투자는 직접 관리와 고정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며, 국채 ETF는 다양한 미국 국채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편리한 옵션일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에서 장기 국채를 막고 단기 국채만 팔기 때문에, 투자 대안으로 10년물 이상을 투자하는 ETF로 TLT, TLTW, TMF에 대한 메리트가 다소 증가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 국채 10년 이상의 미국 국채수익률은 점점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지금이 저점이라 생각하고 투자를 들어간다면 금리가 최대치로 내려갔을 때 매도 시에는 좋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모든 투자는 자기가 하는 것 입니다.
누가 추천을 해준다고 들어가지 말고, 스스로 공부를 해보고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만약 공부 없이 투자하여 물렸다면, 내가 왜 물렸는가? 어떻게 하면 벗어날 수 있을까? 언제 팔아야 하는가?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손절을 해야만 하는가?
등을 뒤늦게라도 공부를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